728x90
반응형

이틀간의 체코 여행은 바람과 같이 지나가 버렸다. 오늘은 체코를 벗어나 근접 국가인 오스트리아로 가는 날이었다.

 
 

이비스 올드타운 프라하의 조식은 꽤 괜찮았다. 신선한 야채도 제공되고 다양한 치즈와 소시지가 나왔다.

 
 

치즈의 종류와 햄의 종류가 몇 종류 있다 보니 어느 게 맛이 있을지 궁금했다.

 

조금 먹는다고 챙겼는데 한 테이블 가득 접시를 가지고 왔다.

 
 

올드타운에서 프라하 기차역까지는 트램을 이용해서 이동을 했다. 트램 티켓은 모바일 앱을 설치해서 구매를 했다.

 
 

올드타운에서 기차역까지는 세네 정거장 밖에 안되었지만 짐이 있어서 트램을 타고 이동하는 것이 편리했다.

 
 

트램에서 내린 후 기차역까지는 걸어서 다시 이동을 해야 했다. 우리가 타는 기차는 예약이 필수인 기차여서 전날 체스키 크롬로프를 갔다 온 후 기차역에 들려 미리 기차의 좌석을 예약했다.

 
 
 

기차역 안에는 기차역을 축소해서 만든 모형이 있었다. 모형 하나하나 디테일을 살려서 잘 만들어졌었다. 그리고 일부 블록은 움직이기까지 했다.

 
 

우리가 탈 기차의 플랫폼이 바로 뜨지 않아서 안절부절못하고 있었는데 드디어 플랫폼 번호가 전광판에 떠서 바람과 같이 플랫폼으로 향했다. 우리는 유레일패스 일등석을 가지고 있어서 유럽 여행하는 내내 일등석을 저렴한 가격에 이용할 수 있었다.

 
 

오스트리아 빈으로 가는 일등석 열차에는 무료로 제공하는 물도 있어서 가져다 먹을 수 있었다. 가방이 무거워 음료나 물을 안 챙겨왔는데 잘 됐다는 생각이 들었다.

 

체코 프라하에서 오스트리아 빈까지는 4시간 정도가 걸렸다. 우리 앞에 모르는 사람이 앉아서 조금 불편했다. 좌석은 거의 만석인 상태로 오스트리아 비엔나로 향했다.

 

우리나라 KTX처럼 고속으로 달리는 열차가 아닌 새마을호 같은 열차였다.

 
 

기차는 시속 160킬로미터로 달리고 있었다. 중간중간 정차하는 역이 있어 기차가 속도를 내다 속도를 줄이다를 반복했다.

 
 

객실에 사람들이 가득해서 답답한 느낌을 받아서 잠시 복도로 나오곤 했다.

 

기차에서 커피나 먹을 것을 주문할 수 있었다. 메뉴판에 유로로 적혀 있기에 유로로 계산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트레블 월렛에 있는 체코 돈을 유로로 변경해서 체코 돈이 없어서 카드 결제가 계속해서 오류가 났다. 그래서 직원이 커피를 가져오는 사이 트레블 월렛 카드에 체코 돈을 조금 충전했다. 체코 돈을 충전하니 결제가 되었다.

 
 

4시간의 기차 여행이 무료할 수 있었는데 커피 한 잔을 마시며 가니 기차여행이 더 즐겁고 낭만적으로 변하였다. 커피를 마시며 수다를 떨다 보니 어느덧 오스트리아 빈 호프반호프 역에 도착을 했다.

 

많은 승객들이 빈 중앙역에서 내렸다.

 
 

오랜만에 또 오는 비엔나라 좋았다. 일단 이곳이 익숙하다는 것에 마음이 놓였다.

 

아주 예전에는 빈 서역이 기차역으로서 중추적인 역할을 했는데 요즘은 중앙역이 서역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기차들은 중앙역을 통해 전 유럽으로 나아갔다.

 
 

숙소로 가기 전 다음 여행을 위한 기차표를 예약했다. 다음 여행은 할슈타트로 갔다, 인스브루크로 가는 일정이었다. 할슈타트로 가는 티켓과 인스브루크로 가는 티켓은 총 3장이나 되었다. 다행히 할슈타트로 가는 일부 구간은 일반열차라 예약 없이 탈 수 있었다.

 
 

이번에도 이비스 호텔로 숙소를 정했다. 이비스 빈 중앙역 호텔은 기차역 바로 앞에 있어서 찾기 쉬웠다. 횡단보도만 건너면 호텔이 나왔다. 길도 걷기 좋아 호텔까지 편하게 갈 수 있었다.

 
 

기차역 앞이라 가격이 저렴하지는 않았지만 방도 넓고 깨끗했다.

 
 

창문을 통해 기차역을 볼 수 있었다.

 

숙소에서 나와 숙소 근처에 있는 벨베데레 궁전으로 향했다. 쉔부른 궁전은 예전에 한번 가봤기에 이번에는 다른 곳을 구경했다.

 

울퉁불퉁한 길을 걷다 평편한 길을 걸으니 발이 아프지 않아서 좋았다.

 

호텔에서 벨베데레 궁전까지는 걸어서 십분 정도 걸렸다.

 
 

궁전에 들어서니 관광객이 조금 보였다. 궁전으로 들어가는 입구에는 나무가 줄지어 서있었는데 겨울이라 앙상한 가지만 남아 을신년스러운 분위기를 자아냈다.

 
 

벨베데레 궁전은 아담했다. 별궁 같은 느낌이 들었다.

 

한국의 겨울 하늘에서는 절대 볼 수 없는 너무 맑은 하늘을 보니 마음도 좋아지고 뭔가 모르게 폐도 깨끗해지는 것 같았다.

 

겨울이라 정원은 볼품없었다. 앙상한 가지의 나무들이 궁전의 마당을 둘러싸고 있었다.

 

그리고 늦은 시간에 방문해서 그런지 쓸쓸한 느낌만 느껴졌다.

 
 
 
 

여름에 오면 화사할 것 같은데 겨울에는 딱히 볼거리는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벨베데레 궁전에 와봤다 정도의 느낌이랄까.

 
 
 
 
 

신기하게 나무를 깎아 놓은 것도 있었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서 나왔을 법하게 나무를 깎아 놓았다.

 

벨베데레 궁전을 구경하다 보니 날이 벌써 져버렸다.

 
 

날이 지고 도시 곳곳에 등이 밝혀지니 도시는 더욱 고풍스럽게 변해 갔다.

 
 

우리는 궁전을 나와 슈테판 대성당으로 향했다. 슈테판 대성당으로 갈수록 길은 번화해졌다.

 
 

길은 더욱 넓어지고 다양한 상점에서 나오는 불빛으로 거리는 대낮같이 밝았다.

 

빈에 오면 꼭 오게 되는 곳 중 하나가 슈테판 대성당이다. 이번에는 가지 말아야지 하면서도 어느새 발걸음은 성당을 향해 걷고 있었다.

 
 

성당은 언제나 그 자리에 있었을 텐데 볼 때마다 더욱더 성당이 커진 것 같은 착각이 들었다.

 
 

성당 안은 성당의 뒤에까지만 갈 수 있고 앞은 철창으로 막혀있어 들어가지 못했다.

 

이번 여행도 잘 마무리하고 돈도 많이 벌고 건강하게 해달라고 신에게 기도를 하고 촛불을 하나 얹어 놓았다.

 
 

성당의 일부만 보는 것이지만 성당의 내부를 볼 때마다 언제나 놀랬다.

 

성당을 나와 지하철을 타고 다시 중앙역으로 갔다.

 
 

슈테판 대성당에서 중앙역까지는 세 정거장 밖에 안돼서 걸어갈 수도 있었지만 다리가 너무 아팠다. 일회 권이 2.4유로로 비쌌지만 내일의 여행을 위해 에너지를 아끼는 것이 좋을 것 같았다.

 
 
 

중앙역에 내려 기차역 안에 있는 빌라라는 슈퍼마켓으로 향했다.

 
 

오늘 저녁에 먹을 음식도 사고 할슈타트에 가면 먹을 것을 살 곳이 마땅치 않기 때문에 이곳에서 이것저것 구매를 했다.

 
 

장을 보고 숙소로 돌아와 아빠는 기차역을 바라보며 미니 와인을 한 병 드셨다. 오늘 하루는 정말 정신없이 흘러간 것 같다. 프라하에서 빈까지 기차를 타고 오고 또 짬을 내서 비엔나 시내까지 구경을 했으니 말이다. 내일의 여행을 위해 오늘도 이른 시간에 잠자리에 들었다.

A. 슈테판 대성당

Stephansplatz 3, 1010 Wien, 오스트리아

B. ÖBB

Am Hbf 2, 1100 Wien, 오스트리아

C. 이비스 비엔 하우프트반호프

Canettistraße 8, 1100 Wien, 오스트리아

D. 벨베데레 궁전

Prinz-Eugen-Straße 27, 1030 Wien, 오스트리아

반응형
728x90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