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오늘은 부산을 벗어나 부산에서 한시간 거리에 있는 경주로 향했다. 아빠 지인분께서 추석이라 경주로 여행을 오셨다고 해서 우리도 하루 일정을 비워두었다.

 

다음날이 추석인데 이렇게 나와 있으니 추석이라는 느낌이 들지 않았다. 오히려 매일매일 아침마다 저렇게 바다를 보고 있으니 내 나이 23살 부터 25살 까지의 추억이 문득문득 생각났다. 바다는 무섭지만 봐도봐도 질리지 않고 항상 경외감과 감동을 주었다.

 

아침 일찍 일어나서 졸리기는 했지만 우리는 경주로 떠났다. 일요일 아침에 추석 전날이라 경주로 가는 고속도로는 텅 빈 것 같았다.

 

고속도로를 나와 국도를 타고 토암산자연휴양림으로 향했다. 떠있는 구름이 뭉게뭉게 떠 있는 것이 슈퍼마리오가 생각났다.

 

 

휴양림 입구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산림욕을 할겸 천천히 지인분이 지내고 계시는 숙도 건물로 갔다.

 

부산은 9월 중순이 넘었지만 아직도 습하고 더웠다. 그러나 토함산은 반팔을 입고 있기엔 닭살이 돋을 만큼 쌀쌀했다.

 

이곳에도 꽃무릇이 피어 있었다. 전국이 꽃무릇 축제 같이 느껴졌다. 다음날 울산에 가니 그곳도 꽃무릇 잔치였다. 이번 여행에서 꽃무릇을 꽤 많이 본 것 같다.

 

산 속에 숙소가 있기에 조용했다. 해운대의 북적북적한 분위기와는 정반대였다. 시끄러운 곳에 있다 조용한 곳으로 오니 심신이 안정되는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지인분 내외분이 아침을 준비하는 동안 숙소 주변을 구경했다. 호국관 뒤로는 별장같이 각각의 동으로 되어 있었다.

 

나뭇잎 사이엔 가을을 알리는 열매들이 떨어져 있었다.

 

숙소 앞에는 작은 운동장과 수영장이 있었다. 지금은 날이 추워서 수영장은 이용하지 못하 것 같았다. 수영장 주변으로 갈색의 낙엽들이 떨어져 있었다.

문무대왕릉

 

 

아침을 먹고 우리는 문무대왕릉으로 향했다.

 

 

문무대왕릉에 여러번 왔지만 이렇게 큰파도가 무섭게 치는 모습은 처음이었다.

 

 

문무대왕님께서 잠드신 곳이니 영엄함이 있는 곳이라 평소에도 파도가 잔잔하지는 않지만 이날은 유독 무서울 만큼 파도가 무섭게 쳤다.

 

 

 

 

파도가 해안에 부딪혀 하얀 포말을 거대하게 형성했다. 문무대왕께서 잠드신 암초에는 갈매기들이 파도 따위는 무섭지 않다는듯 바위에 옹기종기 모여 있었다.

 

거대한 파도가 만든 포말과 파도소리는 일상에 지친 여행자의 마음을 편하게 해주었다.

 

 

해변엔 갈매기들이 모여 있었다. 또 이 모습을 지켜보던 아빠는 갈매기 사이로 가셔서 쉬고 있는 갈매기들을 괴롭히셨다.

 

 

 

 

한참을 문무대왕릉이 보이는 해변에서 시간을 보냈다.

 

 

바다도 파랗고 하늘도 눈이 시리도록 파란 추석 전날이었다.

카페 이스트 앵글

 

우리는 문무대왕릉을 출발해 바닷길을 따라 양남으로 갔다. 양남에서 핫하다는 카페로 갔다,

 

바닷가 옆에 위치한 카페였다. 좋은 자릿는 벌써 자리가 다 차서 자리를 잡을 수 없었다.

 

2층 실내는 노키즈 존이라 2층으로는 올라갈 수 없었다. 대신 2층 실외공간은 입장이 가능했다.

 

 

 

2층 테라스에서 바라본 풍경에 입이 다물어 지지 않았으나, 바다에서 불어오는 습한 바람에 에어컨의 건조한 바람이 그리웠다.

 

 

 

덥고 햇빛이 강하다 보니 사람들은 테라스에서 사진만 찍고 실내로 들어갔다.

 

사진과 현실의 괴리감이 느껴졌다. 사진에서 행복하고편안해 보이지만, 날도 덥고 끈적거려서 씻고 싶은 마음이 컸다.

 

 

주문이 밀려서 한참만에 음로가 나왔다.

 

 

달달한 커피를 마시니 갑자기 카페인이 온 몸을 돌면서 쳐진 몸에 에너지가 넘치게 해주었다.

하서항, 경주양남주상절리

 

이스트앵글 카페어서 멀지 않은 곳에 양남 주상절리가 있었다. 작년인 2020년에 양남 주상절리를 한번 오기는 했지만 그때는 읍천항에서 주상절리까지만 걷고 다시 읍천항으로 돌아가서 하서항은 와보지 못했다.

 

하서항에 차를 세운 후 하서항 사랑의 열쇠로 갔다. 방파제를 따라 걸으면 그 끝에 거대한 열쇠 조형문이 있었다.

 

 

빨간 열쇠의 가운데는 하트모양으로 뚫려 있었고 옆에는 열쇠가 주렁주렁 달려 있었다.

 

 

 

하트열쇠 옆에는 물개(?)조형물이 있는데 아이들은 물개 등에 굳이 올라가서 사진을 찍었다.

 

 

 

 

 

우리는 해안가 길은 따라 주상절리로 향했다. 조금 걸었을 뿐인데 땀이 주르륵 흘렀다.

 

양남 주상절리로 가기 전인데 맛배기로 작은 주상절리군을 볼 수 있었다.

 

 

 

쓰레기통 모양마저 주상절리 모양으로 되어 있었다.

 

파도는 삐뚤삐뚤하게 놓인 주상절리에 부딪혀 하얗게 부서졌다.

 

 

 

이쪽은 우리도 처음 오는 부분이라 신기하게 주상절리를 바라 보았다.

 

 

세워진 주상절리는 우리가 흔하게 볼 수 있는데 이렇게 누워있는 모습은 이곳이 유일한 것 같다.

 

 

저멀리 주상절리 전망대가 보였다.

 

 

 

 

지층이 드러난 부분엔 이곳이 어떤 곳이 였는지를 알려주는 단서들을 볼 수 있었다.

 

살이 찐 이후 왜이리 걷는게 힘든지 모르겠다. 난 마스크 때문이라고 마스크 탓을 하지만 나도 알고는 있다 살이 너무 쪄서 힘들다는 것을. 그래도 가끔은 현실을 부정하고 싶을 때가 있다.

 

 

이제 전망대까지가 얼마남지 않았다. 이 길도 해파랑길의 일부인가 보다.

 

 

작년에 왔을 땐 이 길을 따라 펜션정도 밖에 없었는데 1년 사이 카페도 생기고 좀 더 관광지 같이 바뀌고 있었다.

 

 

 

 

 

이젠 하서항보다 읍천항이 더 가깝게 보였다,

 

 

 

전망대에 오르지 않아도 부채모양의 주상절리를 볼 수 있지만 이 주상절리는 전망대에서 내러다 보아야 그 아름다운 자태를 보고 느낄 수 있었다,

 

 

 

일요일이자 추석 연휴라 그런지 전망대로 들어가는 줄이 길었다.

 

전망대는 4층에 있었다.

 

 

전망대에 도착하니 주상절리가 한눈에 들어 왔다.

 

 

경주의 아름다움이 담긴 사진들도 진열되어 있었다.

 

 

지인분과 저녁을 먹고 우리는 다시 부산으로 향했다. 출발할 때는 노을이 지기 시작했는데 어느덧 하늘이 어두지기 시작했다.

 

 

어느 휴게소에 잠시 쉬는데 하늘엔 아직 2프로 부족한 보름달이 떠 있었다,

 

 

우리는 다시 남쪽으로 달렸다. 새벽부터 숙소에서 나와서 피곤했지만 부산으로 돌아가는 길은 뿌듯했다. 그리고 경주에서 하루를 보내다 다시 부산으로 가니 꼭 부산에 사는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